본문 바로가기

일상/IT 기기

중소기업 FHD TV 모니터 사용기

728x90

안녕하세요  JAYLEE Baseball입니다.

 

HD TV를 가끔 sub 모니터로 쓰다가 우연히 FHD 설정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게 됐는데, 모니터로 쓰기에는 화질이 만족스럽지 않아 FHD TV를 사서 한번 비교해 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회사 선배 말로는 TV를 모니터로 사용하면 화질에 한계가 있어서 FHD라고 해도 안 좋을 거란 말에 TV와 모니터 전용이 왜 다를까, 정말 그럴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기도 했고요.

 

기존 HD TV 살 때도 FHD를 주문한다고 했던 것이 실수로 HD를 산 것이 여서 이번에는 정말 잘 살피고 주문을 했건만 또 실수가 있었네요...ㅎㅎㅎ 인터넷 쇼핑은 정말 어렵습니다.

 

컴퓨터에 RGB, DVI 포트가 있어서 TV에도 둘 중 하나만 있으면 되겠다 해서 제가 원했던 제품은 Full HD 화질에 DVI 혹은 RGB 포트가 있는 저렴한 TV였습니다.

 

SSG.com에서 재일 저렴한 모델을 살피던 중 UMAX TV를 찾게 되었고, 제품 설명도 꼼꼼히 읽었고, 아래처럼 RGB 포트가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빨간색 동그라미 속 RGB 포트 확인!!!

 

jayleeb.tistory.com/57

 

중소기업 TV UMAX 32인치 FHD TV MX32F 리뷰

안녕하세요 JAYLEE baseball입니다. 일전에 집에 있는 32인치 스마트라 HD TV에 FHD 해상도로 Setting 해서 사용한 것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그때 화면을 FHD 해상도로 보게 된 것까지는 좋았는데 화면이 �

jayleeb.tistory.com

집에 TV가 도착하고 설치할 때 까지도 또 주문을 잘 못 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위 글에서도 썼지만, 제품 설명서에 쇼핑할 때 보지 못했던 스탠드 설치 type이 두 개로 나와 있는데 뭐가 다른 것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를 설치하려고 보니 이제서야 뭐가 다른지 보이 더군요. ㅎㅎㅎ

그리고 다시 SSG.com에서 제품 스펙을 다시 보고, 제품 사용설명서에 제품 규격을 다시 읽으니 명확히 A type과 B type이 어떻게 다른지 그제야 보이더군요..

 

우선 다리 설치하고, TV를 원하는 위치에 놓고 RGB cable을 연결하려는 순간!!!

응??!!??!!??!!?? RGB 포트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헐...

RGB 포트 어디 갔니???

이게 뭐지 하면 갑자기 화딱지가 나기 시작했는데, 제품이 바뀌었으면 잘 공지했어야지 중소기업이라 예전 것을 쇼핑몰에 그대로 올린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처음에 했습니다.

 

그러다가... 혹시 내가 놓친 게 있나 하고 다시 제품 설명서를 보니...

내가 구매한 TV가 A-type에 있는 TV 그림과 같고, 쇼핑몰에 있었던 스탠드 설치 방법에 있는 TV가 B type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흠.. 뭔가 안 좋은 예감이...

 

차분히 제품 사용설명서를 다시 보니 40 인치까지는 RGB 포트가 없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쇼핑몰 맨 아래 제품 규격을 보니... 거기에도 없었습니다.

나 또 실수 한 거니... T.T 

이번에도 원하는 DVI 혹은 RGB 포트가 있는 TV 구매를 실패하였습니다. 흑흑흑... 

이 제품(MX32F)은 HDMI만 있는 TV 였습니다.

 

아무튼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HDMI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고, 컴퓨터는 RGB, DVI만 있어서 변환 케이블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암튼 일은 벌어졌고, 원 취지대로 어떻게든 TV와 컴퓨터를 연결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다행히 각종 변환 케이블이 다 있더군요...

그리고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최근 그래픽 카드는 DVI로 소리도 보낸다고 해서, DVI-HDMI 변환 케이블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SSG.com에서 저렴하게 구매했다.

케이블은 이틀 만에 도착했고 TV와 컴퓨터에 연결도 잘 되었습니다.

그리고 모니터를 연결했는데 바로 FHD 모드로 연결이 되고 글자도 잘 읽혔습니다.

아래 설명대로 약간 흐릿했던 글자가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그게 HD, FHD 화질 차이인지 아니면 크로마 서브 샘플링의 차이인지 또 헷갈리네요 ㅎㅎㅎ

HD TV를 FHD setting으로 했을 때 느꼈던 텍스트 번짐 현상

 

일단 화면에 모니터 속 화면과 같은 비율로 나오는 것을 확인했고, 글자도 잘 보이는데 뭔가 좀 거칠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이게 선배가 이야기한 TV를 모니터로 쓰는 것에 대한 한계인가(?) 하는 생각도 들고,

그리고 화면 끝이 잘려 나오는 것이 또 눈에 거슬리더군요...

 

화질이 모니터 보다 거칠게 나오고 끝 부분이 짤려 나옴.

또다시 폭풍 검색...

 

TV에 컴퓨터 혹은  PC 연결 옵션이 있을 거고 그걸 켜면 된다고 했는데, 유맥스 TV는 이게 간단한 버튼으로 되어 있지 않고 메뉴로 들어가 찾아야 했습니다. 뭐 결국 뒤져서 찾아냈죠..ㅎㅎ

 

방법 : 리모컨의 메뉴 버튼-그림 모드-종횡비-16:9를 PC 모드로 선택 - 나가기

이걸 하고 나니 신세계가 펼쳐지더군요..

메뉴 안에 그림 모드 화면

 

16:9 일 때와 PC 모드일 때의 화질의 차이

잘 보이실지는 모르겠는데 PC 모드로 하니 일단 화질이 좋아집니다.

거칠었던 색 표현과 선들이 훨씬 자연스러워졌습니다. 그리고 화면도 안 잘리고 다 나옵니다.

사용 중인 27인치 FHD 삼성 모니터와 비교해서 하나도 떨어지는 게 없습니다.

글자도 16:9일 때보다 선명하고 눈이 아주 시원합니다.

 

이제 크로마 서브 샘플링이 어떤 의미인지 확실히 이해가 됩니다.

역시 사람은 눈으로 보고 비교해 봐야 알아요...ㅎㅎㅎ

 

그리고 네이버 스포츠에서 야구 중계를 보는데 컴퓨터에 연결된 스피커를 끄니 TV에서 소리도 납니다.

DVI로 소리도 잘 전달이 됩니다.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일단 TV와 모니터 모두 만족스럽습니다.

이제 사용하면서 고장만 안 나주면 완전 Perfect 할 것 같습니다.

 

결론.

1. 인터넷 쇼핑 시 반드시 맨 마지막에 있는 제품 규격서를 꼼꼼히 읽어야 한다. 

   설명이 워낙 길어 읽다가 원하는 정보를 찾으면 보다가 마는데, 내가 본 게 틀릴 수도 있다.

   설치 방법에 나온 43인치 TV가 32 인치 TV일거라는 거라는 착각

   왜냐하면 난 32인치 TV를 검색해서 제품 설명을 보고 있었으니까... 

2. UMAX 32인치 FHD TV(MX32F)는 RGB, DVI 단자가 없고 오직 HDMI만 2개 있다.

3. 종횡비를 PC 모드로 설정하면 화면 잘림 없고, 화질도 완벽한 FHD 모니터 화면을 얻을 수 있다.

 

호기심에 시작했고 약간의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바꾸기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 쓰던 TV는 부모님 집으로 보내야겠네요...ㅎㅎㅎ

 

 

 

728x90